다음 글은 누구나 다 아는 사실을 쓴 것이므로 대충대충 읽어주세요
------------------------------------------------------------------------------------------------------------------------------------
요즘 자주 깨닫는 것이 있다.
'돈은 인생의 전부가 아니다.하지만 인생의 대부분이다.'
인간이 살아가면서 가장 중요한 세가지를 꼽는다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의식주'를 생각할 것이다.
이 의식주를 해결하는데 필요한 건 무엇일까?
바로 '돈'이다.
돈이 있어야 겨울에 따듯한 옷을 입을 수 있고(겨울에 미키마우스 반팔 티를 입을 수는 없지 않은가)
돈이 있어야 맛있는 것은 아니더라도 음식을 먹어서 힘을 낼 수 있다(요즘은 달걀값이 치솟고 있다)
또한 돈이 있어야 집을 마련할 수 있다.
그리고 안타깝지만 연애도 결혼도 돈이 필요하다.
너의 여자친구가 도서관과 공원가는 것을 무진장 좋아하면 모르겠는데 대부분의 여자들은 도서관과 공원만 갈 수 없다.(+여자친구가 무소유신봉자이면 얘기가 달라진다)
여자친구와 같이 밥도 먹어야되고 영화도 봐야되고 어디 같이 멀리 여행을 간다면 차도 필요하다.(여자친구에게 매일 뿌셔뿌셔만 먹이고 같이 집에서 ocn만 볼 수는 없지 않은가)
그리고 여자친구 생일날 선물도 해줘야된다.
이와 같이 연애를 하는데도 '돈'이 필요하다.아마 초록색 종이가 많이 필요할 것이다.
그렇다면 결혼은 어떠할까?
돈이 어마어마하게 깨진다.필자인 나는 결혼을 아직 하지 않았다.하지만 나는 안다.결혼을 하고 결혼생활을 유지해야한다면 나는 돈 찍어내는 기계가 되어야 한다는 것을.
댓글 6
-
이상욱
2017.02.01 13:17
-
스며들다
2017.02.02 17:37
잔소리라뇨 저한테 좋은 것을 주셨는데.^^
다음에도 좋은 의견 부탁드려요 ^^
-
이상욱
2017.02.02 15:59
앞의 댓글을 달때 괜한 잔소리하는 것 같아서 2번이나 썼다가 지웠다가 글을 남겼는데
좋게 봐주시니 다행이에요 ^^
-
스며들다
2017.02.01 19:34
좋은 의견 감사드립니다.
제가 사회의 린치핀(linchpin: 누구도 대신할 수 없는 꼭 필요한 존재)이 되려고 하는 경향 때문인지
'소도구로서,부속품으로서 처신하면 괴로울 뿐입니다.'라는 문장이 눈에 띄는 군요.
-
Ankaa
2017.02.02 20:31
사실 돈이 많을 해결해주죠.
기초적인 의식주도 그렇지만 돈을 벌려고 해도 돈이 어느정도 있는게 편한게 현실이니...
-
PostHuman
2017.02.05 09:28
누구나 기본적인 욕구와 권리들이 보장되고 불필요한 경쟁이나 불합리한 다툼이
적은 사회라면 행복은 개인 마음가짐의 문제일 부분이 크겠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 사회의 경우엔 기본적인 것들의 바탕인
물질자원들을 확보하기 위해서라도 돈의 필요성이 커지는 면은 있겠죠.
물론 그런 해당 사회의 근본적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경우엔
행복을 위해 필요한 돈의 액수는 자꾸 올라 부의 꼭대기에 있는 자들 외엔 대부분 항상 불행해 지겠지만요.
반면 화폐가 잘 유통되지 못하고 사회 전체 확보 물질자원자체가 제한되던
옛날의 경우에도 다른 의미로 행복에 끼치는 돈의 영향력이 꽤 제한되었을테고요.
따라서 돈의 가치가 올라간 것 자체는 인류전체의 가능성 증대란 측면에서 기뻐할 만한 일이나
사회제도의 불합리성으로 인해 벌어지는 부의 극심한 편중 및 그로 인한 빈자의 기본권 상실은 슬퍼할만한 일이겠죠.
그런데 많은 이야기들에선 이 둘에 대해 '돈 자체의 사악한 속성'인 양 뭉뚱그려 언급되곤 하죠.
수처작주 (隨處作主) 입처개진 (立處皆眞) 이라 하였습니다. 언제 어디서나 주체가 되고, 내가 지금 서있는 곳의 주인이 되라는 것입니다. 소도구로서, 부속품으로서 처신하면 괴로울 뿐입니다. 최근에 배동성의 가족 이야기 들어보셨는지요? 배동성은 기러기아빠였고, 매달 3000만원 이상의 돈을 미국에 있는 아내와 두딸에게 보냈습니다. 하지만 돌아오는게 원망뿐이었어요. 돈을 아무리 많이주어도 행복은 없었던 겁니다. 돈이 행복하게 만들지도 못하고, 마찬가지로 괴롭게 하지도 못합니다. 괴로운 것은 다른 원인이에요.